티스토리 뷰
목차
영화 '인턴(The Intern)'은 2015년 개봉된 낸시 마이어스 감독의 작품으로, 70세의 시니어 인턴과 젊은 여성 CEO가 함께 일하며 서로의 가치를 배우고 성장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영화는 세대 간의 협력과 비즈니스 성공의 의미를 탐구하며, 특히 CEO의 덕목과 경영철학, 그리고 조직 내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글에서는 영화의 줄거리, 주요 등장인물, 그리고 영화가 전달하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심층 분석하겠습니다.
젊은 CEO와 노인 인턴의 만남 영화 '인턴' 줄거리
영화 '인턴'은 70세 나이에 은퇴한 홀아비 벤 휘태커(로버트 드 니로 분)가 주인공입니다. 그는 오랜 회사 생활을 끝내고 은퇴 후 무료한 삶을 보내던 중, 온라인 패션 쇼핑몰 '어바웃 더 핏'에서 시니어 인턴 프로그램을 시작한다는 소식을 듣고 지원하게 됩니다. 벤은 젊고 성공적인 여성 CEO 줄스 오스틴(앤 해서웨이 분) 밑에서 일하게 됩니다. 줄스는 회사를 창립한 지 몇 년 만에 급성장시킨 야심 있는 사업가로, 자신의 비전과 열정으로 회사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지만, 과중한 업무와 압박감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처음에 줄스는 벤을 그저 나이가 많은 "구식" 인턴으로 여겨 가까이 하지 않으려 하지만, 벤의 따뜻한 성격과 풍부한 경험, 그리고 신뢰를 주는 태도는 점점 그녀의 호감을 사며 그녀에게 있어 중요한 존재가 됩니다. 벤은 회사 내에서 단순히 인턴 역할을 하는 것을 넘어, 줄스와 동료 직원들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으며 조직의 분위기를 변화시킵니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업무뿐만 아니라 사람 간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교훈을 전하며, 세대 간의 조화를 형성하는데 일조를 합니다. 줄스는 회사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투자자들로부터 CEO 자리를 다른 사람에게 넘길 것을 권유받습니다. 그녀는 이 결정으로 고민하며 개인적인 삶과 직장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 어려워합니다. 이 과정에서 벤은 그녀에게 진심 어린 조언을 하며, CEO로서의 책임, 인간적인 성장, 가정의 화목을 돕습니다. 결국 줄스는 스스로 CEO 자리를 지키기로 결정하며, 회사와 가정 모두에서 균형감을 지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영화는 벤과 줄스가 서로에게 큰 영향을 미치며 함께 성장하는 모습으로 마무리됩니다.
주요 등장인물
영화는 세대 간의 협력을 중심으로 각기 다른 배경과 경험을 가진 인물들이 조화를 이루는 과정을 그립니다.
벤 휘태커 (로버트 드 니로 분) : 벤은 70세의 은퇴자이자 영화의 중심 인물로, 오랜 회사 생활을 통해 풍부한 경험과 지혜를 쌓아왔습니다. 그는 따뜻한 성격과 안정감을 바탕으로, 젊은 직원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며 조직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벤은 단순한 인턴이 아니라, 회사 내에서 정신적 지주로 자리 잡으며 사람들에게 큰 영감과 영향력을 줍니다.
줄스 오스틴 (앤 해서웨이 분) : 줄스는 영화의 또 다른 주인공이자, 성공적인 온라인 패션 쇼핑몰의 창립자 겸 CEO입니다. 그녀는 창의적이고 열정적인 리더로, 회사의 모든 일을 직접 챙기며 완벽을 추구합니다. 하지만 과중한 업무와 개인적인 고민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으며, 벤과의 교류를 통해 점차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나갑니다.
피오나 (르네 루소 분) : 피오나는 회사의 마사지 치료사로, 벤과 로맨틱한 관계를 발전시키는 인물입니다. 조연이면서 출연빈도는 낮은 그녀이지만 벤에게 새로운 감정과 삶의 활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맷 오스틴 (앤드류 라넬스 분) : 맷은 줄스의 남편으로, 딸의 육아를 맡아 가정주부 역할을 합니다. 그는 아내의 성공을 응원하지만, 부부 관계에서 갈등을 겪기도 합니다. 아내인 줄스와의 갈등과 화해 과정을 통해 가정과 커리어의 균형 문제를 원만하게 풀어나갑니다.
어바웃 더 핏 직원들 : 저마다 개성이 뚜렷한 회사 직원들이지만 벤과의 교류를 통해 세대 차이를 극복하며, 동료애와 협업정신, 업무와 삶에서 중요한 가치를 배우게 됩니다.
영화 속 인물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세대 간의 갈등과 조화를 경험하며, 영화의 메시지를 풍성하게 만듭니다.
영화가 주는 시사점
영화 '인턴'은 세대 간의 협력과 리더십, 그리고 비즈니스 성공의 본질을 탐구하며 다양한 교훈을 전달합니다.
CEO의 덕목은 리더십과 인간미의 균형 : 줄스 오스틴은 열정과 비전을 가진 CEO로서, 회사의 성장을 이끌어왔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업무 과중과 투자자들의 압박 속에서 인간적인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영화는 리더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인정하고, 팀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벤의 조언과 지지는 줄스가 더 나은 리더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세대 간의 협력과 조화 : 영화는 세대 차이를 극복하는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우리 나라에서도 노인들의 일자리 문제는 먼 미래의 문제가 아닙니다. 노인들이 컴퓨터와 키오스크와 같은 것들을 다루는 데 익숙하지 않고 속도도 떨어지지만 풍부한 인생 경험은 젊은 세대들이 갖지 못한 무기이자 장점입니다. 이처럼 영화에서 벤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젊은 세대에게 가르침을 주는 동시에, 젊은 직원들로부터 새로운 기술과 사고방식을 배우며 상호 작용을 합니다. 이는 조직 내에서 세대 간의 조화와 협업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가정과 커리어의 균형 : 일도 결국 개인과 가정의 행복을 위한 것인데 그 우선순위가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화에서 부부로 나오는 줄스와 맷의 이야기는 현대 사회에서 특히 중요한 가정과 커리어 간의 균형 문제를 다룹니다. 영화는 여성 CEO가 겪는 어려움을 현실적으로 묘사하며, 가족과 직장에서의 역할 사이에서 올바른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비즈니스 성공의 본질 : 돈만 많이 벌면 비즈니스 성공일까요라는 의문을 갖게 됩니다. 돈 이외의 비즈니스 성공요소는 어떤 것이 있는지 생각하게 하는 영화입니다. 영화는 성공적인 비즈니스의 핵심이 단순히 수익 창출이 아니라, 조직 내 인간관계와 협력에 동반성장에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벤과 줄스의 관계는 비즈니스가 결국 수익보다는 사람 중심이어야 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삶의 경험과 지혜의 가치 : 벤은 자신의 삶의 경험과 지혜를 통해 젊은 세대에게 큰 가르침을 줍니다. 이는 기술고도화된 현대 또는 미래 사회에서도 불변의 법칙처럼 적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로의 경험과 지혜를 공유하고 상호 성장과 발전을 도모한다면 나이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조직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론
영화 '인턴'은 단순히 비즈니스를 다룬 코미디 영화가 아닙니다. 세대 간의 갈등과 협력, 리더십, 인간관계, 그리고 비즈니스 성공의 본질을 깊이 있게 탐구한 작품입니다. 벤과 줄스의 이야기는 관객들에게 세대 간의 조화와 상호 존중의 중요성을 일깨우며, 현대 사회에서 성공적인 비즈니스와 삶의 균형이라는 모델을 제시하고 긍정적이고 선한 영향력을 제공합니다.